안녕하세요. 우기부기 입니다. 오늘은 주말이네요. 주말이라 공부는 커녕 핸드폰으로 게임만 열심히 한 것 같아요 ㅎㅎ.
그래도 조금이라도 공부는 해야겠다고 생각해서 오늘도 펜 잡고 공부도 하고 이렇게 블로그에 제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봤어요.
나만의 숙제검사가 되는 좋은 방법인 것 같기도한데... 문제는 블로그에 올리는 숙제검사가 너무 오래 걸린다는 점...ㅠㅜ
아무튼! 저번 글에서는 가볍게 집합에 대한 정리를 했었는데 오늘도 가벼운 내용에 속하는 '실수의 성질'을 공부하고 정리했어요.
정리의 순서는 아래와 같이 진행했어요.
- 유계
- 실수의 성질
- 유계
위로 유계
실수의 집합을 '모든 정수'라고 하고 집합 A를 모든 정수의 부분 집합이라고 가정해볼게요.
원소를 x라고 칭할 때, x≤c를 만족하는 실수 c가 존재할 때, A는 위로 유계라고 칭해요.
상계
위로 유계를 만족시켜주는 실수 c를 상계라고 해용.
아래로 유계
위로 유계와 반대로 x≥d를 만족하는 실수 d가 존재할 때, A를 아래로 유계라고 칭해요.
하계
아래로 유계를 만족시키는 실수 d를 하계라고 칭해요.
유계집합
위로도 유계, 아래로도 유계일 때, 그 집합을 유계집합이라고 해요.
상한
집합 A가 위로 유계일 때, A의 상계 중에서 가장 작은 원소를 상한이라고 해요.
하한
집합 A가 아래로 유계일 때, A의 하계 중에서 가장 큰 원소를 하한이라고 해요.
- 실수의 성질
연속성&완비성
공집합이 아니고 위로 유계인 모든 정수의 부분집합은 항상 상한을 갖는 성질을 실수의 연속성 or 완비성이라고 칭해용
열린구간 & 닫힌구간 & 반열린구간
a<b인 임의의 두 실수 a, b가 있다고 가정할 때,
(a, b) = a, b가 포함되지 않는 그 사잇값을 열린구간이라고 칭하고
[a, b] = a, b가 포함된 모든 사잇값들을 닫힌구간이라고 칭하고
(a, b], [a, b) = a, b가 각각 포함되고 한쪽은 포함되지 않는 그 모든 사잇값들을 반열린구간이라고 칭해요.
조밀성
a < b인 두 실수 a, b 사이에는 무수히 많은 실수가 존재한다. 만약 a < x < b라고 한다면 x는 무수히 많다는 것을 의미해요.
무한성
실수에 대한 수직선은 하아아아아안없이 길고, 그 양 끝은 무한히 연장되어 끝 점이 존재하지 않는다.
수렴성
실수의 집합에서는 단조 수렴 정리가 성립한다.
이렇게 오늘도 가볍게 공부한 내용을 정리해봤어요! 저는 항상 공부를 하고 교재의 뒷면에 있는 예제 문제들을 풀어보며 제가 공부한 내용을 확인해보곤 하는데... 아마 실제로 문제를 풀어보면서 못 풀었던 부분들을 해설할 수 있는 내용들을 추가로 정리할 수 있도록 해보려고 해요...!
오늘도 힘든 하루 고생많았어요. 제일 고생 많은 욱이한테 박수~ 다음에 또 봬용
'우기의 자기개발 > 기초공학수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분적분학] 1장. 집합과 함수 - 수열 (0) | 2020.09.01 |
---|---|
[미분적분학] 1장. 집합과 함수 - 함수 (0) | 2020.08.24 |
[미분적분학] 1장. 집합과 함수 - 집합 정리 (0) | 2020.08.22 |